취준생 필수 취업정보 햄버거 메뉴

목차

    돼지열병 (African swine fever, ASF)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돼지 전염병으로 출혈과 고열이 주 증상

    돼지에서 생기는 바이러스성 출혈성 전염병이다. 감염된 돼지는 열이 나고 피부에 푸른 반점과 충혈이 생긴다. 급성형은 발병 후 9일 안에 거의 100% 죽는다. 치사율이 5~55%인 구제역과는 비교도 안 된다. 급성이 아니어도 폐사율이 최대 70%에 이른다.

    ASF 바이러스는 고기를 얼린 상태에서 1000일, 소금으로 절인 상태에서 1년 이상 살 정도로 생존력도 높다. 감염 경로는 진드기, 야생멧돼지, 음식물쓰레기, 배설물, 각종 육가공품 등이다. 공기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는다. 사람은 바이러스가 검출된 돼지고기, 육가공품을 먹어도 문제없다. 다만 바이러스가 있는 잔반을 사료로 먹은 돼지는 곧장 감염된다. 치료제와 백신이 없는 탓에 해외에서도 ASF에 전염된 돼지는 100% 살(殺)처분한다. 확산을 막기 위해서다. “ASF가 상륙하면 삼겹살 한 근에 10만원이 될 것”이란 얘기가 양돈업계에서 나오는 이유다. 업계에선 한 번 ASF가 발병한 농장은 돼지를 모두 살처분해도 ‘돼지농장’ 간판을 다시 달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농장을 소독해도 바이러스가 오랜 기간 살아남기 때문이다. 동유럽에서 ASF가 발병한 지 수개월이 지난 뒤 축사에 돼지를 넣었으나 모두 죽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 ASF가 유입된다면 경로는 둘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관측했다. 하나는 야생 멧돼지다. ASF는 멧돼지가 숙주다. 아프리카와 유럽에서만 번졌던 ASF가 중국에 유입된 경로도 야생 멧돼지로 추정됐다. 중국 전역이 ASF 손아귀에 들어간 만큼 이미 북한으로 넘어갔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 등 중국과 국경을 맞닿은 곳이 이미 뚫린 마당에 북한만 ‘청정지역’으로 남을 가능성은 낮다는 이유에서다.  베트남에서 발견된 ASF 바이러스 확인 건수는 211건으로 중국(110건)을 능가했다.

    다른 경로는 중국 베트남 등 ASF 발병국에서 넘어온 육가공품이다. 이들 국가와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한 만큼 아무리 열심히 방역해도 놓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도 이런 점을 감안해 지난 4월 9일 대국민 담화에서 “불법 휴대 축산물로 인한 유입이 가장 우려된다”고 말했다. 중국 등을 다녀온 여행객이 가져온 축산물에서 ASF 바이러스 유전자가 14건이나 검출된 것도 ‘육가공품을 통한 유입’ 우려를 높이고 있다. ASF가 확산되면서 세계 양돈농가와 육가공업체들은 ‘패닉’에 빠졌다. 세계 돼지고기의 50%인 연간 4억 마리를 소비하는 중국의 모돈이 30% 이상 폐사하면서 공포가 커지고 있어서다. 일단 ASF로 인해 돼지고기 가격이 크게 뛰고 있다. 2019년 하반기부터 중국이 돼지고기 수입을 본격화할 것이란 관측이 반영돼서다. 지난 4월 8일 기준, 미국 시카고 선물거래소(CME)에서 돈육 선물(6월물) 가격이 연중 최고가인 파운드당 97.82센트를 기록하게 된 배경이다.

    PC 접속 주소 : https://blog.nojobknowjob.com

    플레이스토어 설치 주소 : https://fla.kr/aWxa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nojob.knowjob

     

     

     

     

    댓글
    위쪽 화살표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하트)과 댓글을 부탁드려요.